습한 장마가 지나고 30℃는 기본으로 넘는 더위가 왔습니다. 자연스럽게 에어컨 사용량이 늘면서 냉방병에 걸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내외 온도차, 관리되지 않는 에어컨 장시간 사용으로 많은 사람들이 걸리게 되는 냉방병 원인과 예방, 치료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냉방병 증상
냉방병 증상은 다양하며 감기와 증상이 비슷합니다. 본인이 앓고 있는 질환이 있다면 그 질환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두통
- 건조함
- 코막힘
- 기침
- 피부발진,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 호흡기 질환
- 소화불량
- 설사
- 무기력증
냉방병 치료
냉방병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거나 장소이동을 하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에어컨 사용을 중지하면 증상은 완화되지만 무더운 여름에 에어컨 사용을 안 할 수 없어 빠른 완치가 힘듭니다.
증상이 계속된다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꼭 병원에 내원해 진료를 받아주세요.
냉방병 원인
실내외 온도차
실내와 실외 온도차이가 클수록 걸리기 쉽습니다. 온도차이가 클수록 우리 몸은 온도차에 적응하지 못하고 건강에 이상이 생깁니다.
부실한 에어컨 관리
평소 에어컨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면 실내 부적절한 습도와 공기가 오염되면서 공기 중 유해한 세균과 바이러스가 떠돌면서 알레르기나 호흡기질환에 걸릴 수 있습니다.
냉방병 예방
실내외 온도차는 5℃
밖이 35℃까지 치솟는 고온인데 5℃ 낮으면 30℃입니다. 적정 온도에도 못 미치는 높은 온도입니다. 더위가 가시지 않습니다. 하지만 냉방병예방과 증상완화를 위해서는 실내외 온도차가 5℃이하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에어컨 온도설정을 서서히 온도를 낮춰주세요. 30→29→28→27→26℃로 낮춰주세요. 우리 몸이 낮은 온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온도조정을 해주세요.
선풍기 적극 활용하기
에어컨 가동시 선풍기도 적극 활용해 주세요. 냉공기가 실내에 빠르게 퍼져 금방 시원해져 에어컨 설정온도보다 더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얇은 겉옷 입기
실내 온도 조절을 할 수 없는 식당, 카페, 영화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얇은 겉 옷을 입어주세요.
주기적인 에어컨 청소
주기적으로 에어컨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생각보다 에어컨필터 청소는 간단하고 쉽습니다. 2주 1회를 권장하며 사용빈도에 따라 더 자주 해주세요.
에어컨 끈 후 날개 닫지 않기
에어컨 전원을 끈 후에서 본체에 차가운 공기가 남아 있습니다. 이 차가운 공기가 남아있으면 에어컨 안은 습해져 각종 곰팡이가 생기게 됩니다. 다음 작동 시 곰팡이는 실내공기 질을 떨어트립니다. 에어컨 대부분은 전원을 끄면 차가운 공기가 다 빠져나가고 알아서 날개를 닫습니다. 이때 일부러 닫지 않으면 됩니다.
환기 자주 하기
높은 전기료, 냉공기 손실을 막기 위해 환기를 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면 실내 공기가 나빠져 알레르기나 호흡기 질환을 겪을 수 있습니다. 환기는 1년 365일 매일 해야 합니다. 하루 2번 10분 이상 창문을 열거나 환기구가 있다면 작동을 해주세요.
폭염 속 냉방병으로부터 우리 몸 보호하기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가 더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여름이 길어지면서 습하고, 높은 기온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만큼 에어컨 사용 기간, 시간이 길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냉방병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폭염 속 냉방병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 주세요.
'건강지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여름도 덥다 (0) | 2025.03.09 |
---|---|
열대야와 불면증 극복하기 (0) | 2024.08.11 |
온열질환(일광화상, 일사병, 열사병)의 예방, 증상 , 처치방법 (0) | 2024.07.31 |
여름철 식욕부진 벗어나기 (0) | 2024.07.27 |
23년 여름 한국 최고온도 갱신! 올해는 더 덥다! 폭염의 의미와 영향 (0) | 2024.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