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지키기

지구온난화로 2도 상승한 지구 미래 예상

반응형

23년에 이어 24년도 여름기온도 최고 온도를 갱신했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1.5도 오른 지금, 전 세계가 폭염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럼 2도 상승한 지구 미래를 어떨까요? 지구온난화로 2도 상승한 지구 미래를 예상했습니다.

2도 상승된 지구는 먼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바로 우리 다음 세대가 겪을 미래입니다.

지구온난화로 2도 상승한 지구 미래

2도 상승한 지구

모든 생명체 서식지가 줄어 동식물이 30~25%로 줄어듭니다. 북극 빙하가 없는 시기가 생깁니다. 전염병과 식량난을 자주 겪으며 자연재해로 이재민, 기후난민이 발생합니다. 바다 생명의 근원인 플랑크톤은 99% 사라지며 사실상 해양동식물은 멸종됩니다.

매해 갱신되는 자연재해

극단적 기후변화가 빈번하게 발생해 다양한 자연재해를 겪습니다. 홍수, 태풍만이 아닙니다. 폭염, 가뭄, 대형화재 등 기후변화와 관련된 모든 자연재해와 그와 연관된 재해를 빈번하게 겪습니다.

매번 갱신되는 중국과 일본의 기록적인 폭우와 태풍피해, 한국도 2년 연속 최고기온을 갱신했습니다. 열대야수도 18년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태풍과 홍수

가장 떠올려지는 자연재해입니다. 기록적인 폭우와 태풍이 자주 발생되고 이에 따른 파해도 규모가 점점 커집니다.

폭염과 가뭄

높은 온도

북아시아를 제외한 모든 나라가 폭염과 가뭄을 장기간 겪습니다. 오랜 폭염기간은 가뭄으로 이어지고 긴 가뭄은 많은 식물들이 자라지 못해 먹거리 수확량이 줄어 식량문제을 겪습니다.

따뜻한 러시아

북반구에 위치한 모든 지역이 아열대 기후로 변합니다. 이미 러시아는 고온현상을 겪고 있어 사람들 옷장에 얇은 옷들이 한자리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온이 장기화되면서 5만 명이 사망했으며 곡물 수확량은 평년대비 80%를 보이고 있습니다.

각종 병 창궐

높은 기온과 푹우로 인해 높은 습도, 고여있는 물은 각종 병균을 옮기는 모기, 박쥐의 서식지가 넓어집니다. 박쥐에서 시작된 코로나19, 모기의 말라리아, 뎅기열등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가 창궐합니다. 

기아 사망자>자연재해 사망자

곡물 수확량이 적어 2050년엔 영양실조로 죽는 기아 사망자가 자연재해 사망자를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아프리카 대부분 나라에서 곡물을 재배하는 농민이 영양실조에 걸릴 만큼 적은 수확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적어진 곡물 수확량

대표적인 주식 옥수수, 밀, 사탕수수 수확량은 벌써 적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밀 수출국인 인도에선 적은 수확량으로 일시적으로 수출금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밀 가격이 요동쳤으며 한국도 대표적인 서민음식인 면 요리 가격이 상승하고 붕어빵은 금어빵이 되었습니다.  

옥수수 열매 맺기 한계 온도 32도

가뭄으로 끝까지 알갱이가 차지 않은 옥수수

한국은 쌀이 주식이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옥수수가 주식입니다. 옥수수열매는 30도가 넘으면 열매가 적어지고 32도가 넘으면 열매가 맺지 않습니다. 

급증하는 해충

메뚜기떼같은 농작물을 공격하는 해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한국은 해충피해가 적은 편이지만 아프리카, 유럽국가들은 메뚜기 떼가 지나간 지역은 아예 수확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큰 피해를 겪고 있습니다. 

병드는 농작물

안정적이지 않는 기후로 농작물도 병에 자주 병에 걸려 수확량이 적어집니다. 이미 커피원두, 사탕수수, 카카오나무가 병에 걸려 매해 수확량이 적어져 최근 2-3년간 가격이 4-5배 높아지고 있습니다. 

해수면상승

녹은 빙하는 해수면 상승 원인입니다. 하지만 우리에겐 10M 이상 해수면 상승 시 이를 대비한 기술이 없습니다.  5미터 상승하면 10억 넘는 인구가 피해를 봅니다. 이미 태평양에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대부분은 도심을 이전했고 뉴욕은 거대 방패제가 건설 중입니다.

빙하 없는 북극

2도 높은 북극 여름엔 빙하가 없는 경우도 생깁니다. 빙하는 우주로부터 온 태양열을 바로 반사시키는 역할도 있습니다. 빙하가 적을수록 지구온난화현상이 더 심해지고 해수면 높이는 더 높아집니다.

바다 산성화

산호초와 해양생물산호초 배화현상

바다 산호초는 직접적으론 해양생물 25%의 서식지와 먹이역할을 합니다. 이 25%의 해양생물은 먹이사슬 아래에 위치해 더 큰 해양생물의 먹이가 됩니다. 결과적으로 산초호는 해양생물 전체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바다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호초는 온도가 상승하면 산호초 백화현상이 일어나게 되면서 제 기능을 잃습니다. 

기후난민발생

기후난민은 사람이 살고 있는 지역 생태계가 망가져 더 이상 살아갈 수 없어 일시, 장기적으로 떠나는 사람을 말합니다. 극단적 기후변화가 심해지면서 이미 전쟁난민보다 기후난민 수가 많습니다. 한국도 지진, 강원도 산불 피해로 아직도 일부사람들은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2도 올라간 지구는 130개국에서 기후난민이 발생하고 금액으로 1조 4000억(1860조 6000억 원)이 넘는 피해가 예상됩니다.

반드시 오고, 멀지 않은 2도 상승한 지구

2도 오른 지구상황과 이미 자연재해를 겪어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지금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입니다. 다른 점은 더 자주 겪어서 재해 겪은 후의 상황이 지속될 것입니다. 

1.5도. 지구온도가 더 이상 오르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기준 온도가 1.5도입니다. 이미 이 온도는 작년에 넘었습니다. 공식온도로 확정하려면 최소 3년간 평균온도로 지속돼야 하기에 공식이 아닌 상태일 뿐입니다.

2도 오른 지구는 반드시 옵니다. 지금부터 온실가스 발생을 0으로 해도 2도 오른 지구상황은 옵니다. 하지만 그 시기는 늦출수 있습니다. 

√ 지구온난화가 지속된 미래예상

 

 

 

 

'지구지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가 지속된 미래  (0) 2024.09.23